본문 바로가기

뇌 가소성2

꿈을 꾸는 과학적 이유 (뇌 가소성이 REM 수면의 배후 세력?) 꿈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에 알게 되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뇌가 깨어있는 동안 받아들인 정보를 우리가 자는 동안에 버릴 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보존할 것을 분류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신경 관련된 뇌의 부위를 건드리거나 전기 신호가 스쳐가기(?) 때문에 일종의 시각 반응이 일어나고 그 결과가 (우리가 기억이 나면) 꿈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뇌 가소성(腦 可塑性 / neuroplasticity /brain-plasticity)에 대하여 찾아보다 보니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었다. 뇌 가소성이라는 것은 아래 관련글에서도 정리했듯이 나이에 상관없이 연습/공부를 꾸준히 하면 얼마든지 뇌 회로를 그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그 특성을 이름 붙인 것이다. [이 블로그의 관.. 2024. 2. 28.
뇌 가소성, 평생 공부할 수 있다. 뇌 가소성(Neuroplasticity or Brain-Plasticity)이란 무엇인가? 가소성이라는 말은 플라스틱을 가공하는 것처럼 말랑말랑한 상태에서 어떤 형태로든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뇌 가소성은 환경이나 학습에 따라서 뇌가 변화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총상으로 우뇌가 거의 파괴된 군인이 재활 훈련을 통해 일상생활에는 거의 문제가 없이 회복하여 복귀한 사례도 있고, 병으로 좌뇌를 거의 들어낸 어린 환자는 성장하면서 우뇌가 대신 거의 모든 기능을 이어받아 큰 문제없이 생활한 예가 있다. 이것은 뇌가 적응력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뇌의 부상이나 질병에도 어느 정도 기능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에게는 무엇인가를 기억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리하고 추상화하.. 202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