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악몽2

꿈을 꾸는 과학적 이유 (뇌 가소성이 REM 수면의 배후 세력?) 꿈을 꾸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에 알게 되기 전까지는 막연하게 뇌가 깨어있는 동안 받아들인 정보를 우리가 자는 동안에 버릴 기억과 장기기억으로 보존할 것을 분류하고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신경 관련된 뇌의 부위를 건드리거나 전기 신호가 스쳐가기(?) 때문에 일종의 시각 반응이 일어나고 그 결과가 (우리가 기억이 나면) 꿈이라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뇌 가소성(腦 可塑性 / neuroplasticity /brain-plasticity)에 대하여 찾아보다 보니 새로운 관점을 알게 되었다. 뇌 가소성이라는 것은 아래 관련글에서도 정리했듯이 나이에 상관없이 연습/공부를 꾸준히 하면 얼마든지 뇌 회로를 그에 맞게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어 그 특성을 이름 붙인 것이다. [이 블로그의 관.. 2024. 2. 28.
악몽, 투쟁-회피 반응 악몽 너무나도 생생한 악몽을 꾸었다. 심지어 새벽에 으아악~! 소리를 지르며 깼을 정도였다. 최근에 꾼 꿈은 내용 자체는 희미하지만 마지막 클라이맥스는 지금도 생생하다. 배경은 뭔가 제주도나 열대 지방의 바닷가가 창문에 보이는 집이었다. 나는 머리를 감고 있었는데 갑자기 뭔가 시커먼 것이 입에서 나오는 것이다. 그냥 뱉어 내면서 ‘엥? 이게 뭐야?’ 그러면서 의아해하고 있었는데.... 그런데!! 샤워 중에 사람인지 뭔지 어떤 존재가 내 왼쪽 귀에다가 대고 숨결 느낌과 함께 '우와아아아왁~~~~!!!!' 소리를 지르는 것이었다. 그때 나도 완전 깜놀하면서 현실 세계에서도 으아악 소리를 지르면서 깼다. 진심 최근 10년 내에 꾼 꿈 중에 제일 놀란 꿈이었다. 와.. 지금 생각해도 식은땀 나네.. 그때 일어나.. 2023.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