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shmallow1 엉터리(?) 마시멜로 실험의 의미 흔히 마시멜로 실험으로 알려진 '만족 지연(delayed gratification)' 관련 실험은 '인내심이 큰 유아/어린이일수록 나중에 학업 성취도가 높다'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과연 그런 면만 있을까? 일단 1970년대 실시된 마시멜로 실험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 4~6세의 유아/어린이에게 마시멜로 한 개를 준다. - 만약 15분 동안 먹지 않고 기다리면 (=인내심 테스트) 두 배를 주기로 약속했다. - 이때 유혹을 이기고 보상을 받은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높은 학업 성취도를 달성했다. (1980년대 후반~1990년대 초반에 실험대상에 대한 추적 조사) 단순히 타고난 인내심? 결국 인내심이 성공의 열쇠인 것처럼 마시멜로 실험이 유통(?)되고 있고 말하고자 하는 교훈은 잘 이해하겠다. .. 2023. 6. 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