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3 미국 사투리 - 탄산음료(soda, pop, coke) 세력 변화 우리가 일반 식당에 가서 탄산음료를 시킬 때에는 보통 "콜라 또는 사이다 주세요."라고 하면 다 통한다. 극장 등 스스로 따라 마시는 곳에서는 그냥 '탄산음료' 추가하면 컵을 받아서 원하는 대로 따라 마시면 된다. 그런데 미국에서 원래 탄산음료를 뜻하는 'carbonated beverage'를 주문하면 아마도 우리가 식당에서 물 달라고 'H2O 주세요'라는 느낌일 수 있겠다. 그런데 미국에서는 탄산음료를 soda, pop, coke 등으로 다양하게 부르는데 이것들이 서로 호환되는 단어가 아니라 지역별 사투리처럼 서로 다르게 사용한다. (참고로 술이 아닌 청량음료를 아우르는 'soft drink'라는 말은 지역에 관계없이 두루 사용되는 것 같다.) 제일 아래 1947년 그림에서도 나와있지만 전통적(?)으로.. 2023. 12. 19. 첩(牒) - 같은 한자 다른 쓰임 (청첩장, 최후통첩, 이첩, 그림첩, 첩보 등), 문에 달린 경첩은 순우리말이다. 뉴스를 보다가 '이번 건을 다른 기관에 이첩했다'는 표현을 보면서 '첩'이란 한자가 여러 곳에 쓰이는데 같은 글자가 여러 의미로 (하지만 일정 부분 공통된 부분이 있는 방식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떠올렸다. '이첩'은 '첩'이라는 것을 '이동' 또는 '이전'했다는 것인데, 나에게 '첩'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스파이 영화를 말하는 '첩보' 영화였다. 여기서 '첩보'는 비밀스러운 정보를 말하는 것이고 '스파이'의 한글 번역인 '첩보원/간첩'도 같은 글자(한자) 일 테니 '첩'은 비밀(secret)이나 정보(information)를 뜻하는 것일까? 확인해 보자. 원래 한자의 뜻 - 서류, 편지, 서류 뭉치 첩(牒)이라는 한자의 뜻을 사전을 찾아보면 '편지 첩, 서찰 첩, 문서 첩' 등으로 설명되어 있다. 영어에 .. 2023. 8. 17. 주작과 조작, 사라진 고어(古語)가 우습게 되살아나다. 주작과 조작은 다르다? 청소년과 대화 중에 어떤 주제에 대하여 이야기하다가 '그건 정말 주작 아니에요?'라는 말을 듣고는 혹시나 해서 물어봤다. 나: 조작과 주작은 같은 뜻일까요? 청소년: 같은 뜻 아니에요? 나: (매우 잘난척하며...) 사실 '주작(朱雀: 붉은 새)'이라는 건 동양 종교 중 도교(道敎)에서 동서남북을 지키는 수호신이 있는데, 남쪽을 지키는 불사조나 봉황 같은 붉은 새를 말하는 거였어요. 동-청룡, 서-백호, 남-주작, 북-현무 이렇게 사신(四神)이라고 부르지요. 청소년: 그런데 그럼 왜 주작(朱雀: 붉은 새)이 조작(造作)이랑 비슷한 말로 쓰인 거죠? 나: (약간 자신 없어하며) 음... 예전에 뭔가 조작에 관한 이슈가 있었는데, 그걸 게시판에 쓰면 시끄러워져서 '조작'을 금지어/금칙.. 2023. 3.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