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부12 들리다/들르다 뜻 구분 및 기억하는 방법 (소리가 들리다/어디를 들를까?) 오늘도 문서를 작성하다가 혼동되는 단어들! 잊어버리지 않게 간단히 정리해 보자. '들리다'는 뜻이 여러 가지사실 '들리다'는 '들르다'보다 훨씬 많은(여러 가지) 뜻이 있다. 여기선 대표적인 것만 몇 가지 다루겠다. 들리다(1) - 소리에 관련된 단어- 뜻: (소리를) '듣다'의 피동사로서 '귀를 통해서 소리가 인식되는 것'을 의미한다. - 내가 이상한 소리를 '듣다'. -> 이상한 소리가 나에게 '들리다'. (영어 문법에서 수동태 같은 쓰임이랄까.. be heard의 의미) - 과거형은 '들렸다'이다. - 자주는 아니지만 피동사가 아니라 (남을 시키는) 사동사로도 쓰이는데, 이때는 '소리를 듣게 만들다'란 의미로 쓰인다. (예제: 그는 자기가 들은 소식을 가족들에게 들려주었다.) 들리다(2) - 무게에.. 2023. 9. 18. 가르치다(teach)와 가리키다(point/indicate)를 쉽게 구분하는 법 가르치다/가리키다를 대부분 잘 구분해서 글로 쓰기는 하는데 말을 하다 보면 간혹 잘못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의미와 용법을 다시 정리하고 쉽게 기억하는 방법도 고민해 보자. 각 단어의 의미 요즘은 영어가 더 익숙한 경우가 많아서 국어를 설명하는데 영어로 설명하기도 하지만, 한글로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영어로는 서로 완전 다른 소리/모양인 경우 그 차이가 극명해서 구분하기가 더 편리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 - 가르치다: 몰랐던 것을 교육시키거나 잘못 알고 있던 것을 바로 잡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teach, instruct, coach 등이 대응되는 단어다. - 가리키다: (손가락질을 하며) 어떤 대상을 콕 집어서 보이거나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point (to/out), ind.. 2023. 8. 18. 첩(牒) - 같은 한자 다른 쓰임 (청첩장, 최후통첩, 이첩, 그림첩, 첩보 등), 문에 달린 경첩은 순우리말이다. 뉴스를 보다가 '이번 건을 다른 기관에 이첩했다'는 표현을 보면서 '첩'이란 한자가 여러 곳에 쓰이는데 같은 글자가 여러 의미로 (하지만 일정 부분 공통된 부분이 있는 방식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떠올렸다. '이첩'은 '첩'이라는 것을 '이동' 또는 '이전'했다는 것인데, 나에게 '첩'하면 떠오르는 단어는 스파이 영화를 말하는 '첩보' 영화였다. 여기서 '첩보'는 비밀스러운 정보를 말하는 것이고 '스파이'의 한글 번역인 '첩보원/간첩'도 같은 글자(한자) 일 테니 '첩'은 비밀(secret)이나 정보(information)를 뜻하는 것일까? 확인해 보자. 원래 한자의 뜻 - 서류, 편지, 서류 뭉치 첩(牒)이라는 한자의 뜻을 사전을 찾아보면 '편지 첩, 서찰 첩, 문서 첩' 등으로 설명되어 있다. 영어에 .. 2023. 8. 17. 잠바는 미국에선 점퍼가 아니다. 무스탕 코트가 머스탱이 아니듯이.. 아직은 열대야로 잠 못 이루는 8월이지만 좀 있으면 언제 그랬냐 싶게 찬바람이 솔솔 부는 가을이 찾아올 것이다. 이때 사람들은 겨울 옷을 꺼내 입기 전에 간단하게 '잠바'를 꺼내 입는다. 대학교 과에서 만든 잠바는 줄여서 '과잠'이라고 부르기도 하는 등 잠바라는 단어는 익숙하지만 뭔가 일본식 영어인 재플리시처럼 들린다. 그리고 잠바의 본딧말은 점퍼(jumper)라고 알고 있고 심지어 국어사전에도 잠바/점퍼가 나와 있다. 그러나 영미권 국가에 있는 옷가게에 가서 점퍼(jumper)를 보여 달라면 엉뚱한 것을 보게 될 것이다. ^^ 영어권에서 점퍼(jumper)는 잠바가 아니라 스웨터다.당장 구글에서 jumper로 검색하고 이미지를 살펴보자. 그러면 아래 사진과 같은 스웨터류가 검색되고 우리가 아는 잠바/점.. 2023. 8. 8.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