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공부12

부엌에서 설거지를 하고, 식탁을 닦은 행주는 물에 행구는 걸까 헹구는 걸까? (행구다/헹구다) 간단한데 가끔 혼동되는 맞춤법이 있다. 설거지를 끝낼 때 (그러고 보니 '설겆이'도 1980년대 말에 '설거지'로 바뀌었다.) 그릇을 물에 헹군다. 즉 물에 씻어 내는 (rinse-off) 행동을 '헹군다'라고 쓴다. 행군다(X) -> 헹군다(O) 그런데 식탁이나 부엌을 닦은 행주는 헹주가 아니라 행주이다. 참고로 행주는 순우리말인데 행주산성/행주대첩의 행주(幸州)는 한자어 지명이다. 행주치마로 돌을 옮겨 나르며 싸웠다는 일화가 있어서 좀 헛갈릴 수 있지만 일종의 우연의 일치라고 봐야 하겠다. 아무튼 임진왜란 때 행주대첩은 다들 기억할 테니 "행주를 헹군다."라고 'ㅐ'와 'ㅔ'가 서로 다르게 들어간다고 기억하면 '헹군다'를 쉽게 기억할 수 있을 것이다. 2024. 6. 16.
소라색은 무슨 색일까? + 곤색, 가방, 땡땡이 무늬 인터넷 쇼핑몰에 들어가서 드레스 셔츠나 옥스포드 셔츠를 사려고 둘러보다가, 셔츠의 근본색(?)인 화이트 또는 연한 블루색을 찾아본다. 그런데 이런 표현이 있다. "소라색 셔츠" "라이트(light) 소라색 스커트" "딥(deep) 소라색 니트" 등등 응? 소라(conch)가 푸른색이었나? 구글링을 해본다. 소라, 소라고둥, 바다 달팽이, 소라게 등등 아무리 이미지를 찾아봐도 소라나 고둥 껌질이나 안에 있는 말랑한 살 모두 푸른색과는 거리가 멀다. 카키, 베이지, 갈색, 베이지 등등 흔히 자연에서 보이는 슴슴한 색깔이 전부다. 혹시 물고기도 보통은 칙칙한 색인데 산호초 근처의 화려한 열대어처럼 일부 소라 종이 푸른색으로 보이나 싶었지만 그런 것 같지는 않다. 더 찾아보니, 아니 이럴 수가... 소라색이라는.. 2023. 11. 4.
메다/매다 뜻 구분 및 쉽게 기억하는 방법 백팩을 메고 다니는 걸까 매고 다니는 걸까? 일반적인 경우 배낭은 메야한다. 하지만 배낭이 고장 나서 뚜껑을 줄로 매고 나서 등에 메는 상황일 수도 있으니 구분해서 써야 한다. 알고 있었던 것 같은데 글로 쓰려고 보면 어? 이게 맞나? 싶은 메다/매다 뜻을 구분하고 다음부터는 혼동하지 않게 쉽게 기억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각각의 뜻/사용 예/쉽게 기억하기 매다 => '매듭'으로 기억하자.(1) '매다'는 '줄이나 끈으로 묶어서 마디를 만든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마디' => '매듭' => '매다' 이런 식으로 변형된 것으로 기억하자. Ex) 신발 끈이 풀렸네 저기서 끈을 매고 가자. 유사한 의미로 쓰이는 다음 단어들과 함께 기억하면 좋다. - 매달다, 달아매다, 동여매다, 잡아매다 (2) 다른 뜻으.. 2023. 10. 27.
베다/배다 뜻 차이 구분, 쉽게 기억하는 방법 간혹 자주 쓰는 단어인데 혼동되는 경우가 있다. 그냥 맞춤법과 뜻을 암기하는 것보다는 각각의 의미가 연결되도록 연상해서 기억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일단 사전적 뜻은...베다 (1) - 자르다 / 상처를 내다 / 끊어버리다 - 예제) 날카로운 칼로 베었다. 칼에 손가락을 베이다. 사과를 한 입 베어 물었다. 베다 (2) - 베개를 베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이에 비해서 '배다'는... 배다(1) - 스며들다 or 스며 나오다/ 습관이 되다 - 예제) 청바지에서 파란색 물이 배었다. 이젠 턱걸이가 몸에 배었다. 생선 냄새가 소파에 배어서 잘 안 빠지네. 배다(2) - 알이나 새끼를 배다. 베다/배다 쉽게 구분하는 방법 - 기억법 or 연상법위의 사전적 뜻을 보다 보면 사용하는 예제에서 각 단.. 2023. 10.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