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달리기 케이던스 180 spm 조깅 또는 달리기를 할 때 부상 방지를 위해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러닝 케이던스를 180 spm (step-per-minute)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다. 달리는 중에 자신이 목표로 하는 케이던스를 쉽게 유지하려면 어떤 방식이 좋을까? 케이던스(Cadence)란?케이던스라는 것은 단위 시간당 발걸음 수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은 1분간 총 발걸음 수를 의미한다. 러닝 케이던스가 180이라는 것은 1분 동안 180 걸음을 뛰었다는 뜻으로 1초당 3걸음 정도 뛰는 정도를 말한다. 용어의 정의처럼 케이던스의 단위는 spm (steps per minute)이다. 심장 박동수의 단위가 bpm (beats per minute)인 것과 유사한 타임 스케일의 단위이다. 케이던스는 달리기 뿐만 아니라 자전거에서도 분당 페달.. 2023. 4. 23.
빵꾸(펑크), 핸들, 백미러.. 룸미러도 콩글리시 영어권 사람들도 빵꾸(펑크), 핸들, 백미러 등 우리가 흔히 쓰는 영어(?)를 알아 들을 수 있을까? 콩글리시의 세계화를 바라면서 각 단어의 어원도 알아보고 영어권 사람들과 이야기할 때 어떻게 바꿔서 사용해야 좋을지 알아보자. 빵꾸의 어원 흔히 옷이나 가방이 닳아서 구멍이 뚫리 것을 '빵꾸 났다' 또는 '빵꾸 뚫렸다'라고 표현한다. 빵구는 어디서 온 말일까? 흔히 빵꾸를 구멍이라는 뜻의 일본어 '판쿠'에서 유래한 단어로 알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판쿠'도 원래 일본어가 아니라 사실 영어 'puncture'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일본어는 외래어에 대해 우리나라보다도 더 관대한(?) 입장이라 그런지 외국어를 번역하지 않고 일본식으로 발음한 다음 그것을 그대로 일본어 단어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 2023. 4. 16.
사무실 책상 화분: 식물 킬러를 위한 팁 결론부터식물 화분은 작은 선물이나 기념품으로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서 다들 책상에 작은 식물 화분 하나쯤은 길러본 일이 있을 것이다. 자기 사무실 책상 위에 올려놓은 조그만 화분을 죽이지 않고 기르는 간단한 꿀팁은 간단하다. 한 줄로 요약하면, 물을 최대한 절제하면서 줘야 한다. 제이메이드 수경식물 테이블 야자 + 스킨답서스 + 아이비 3종 세트COUPANGwww.coupang.com 햇볕이 충분하지 못한 사무실 환경에서 주로 추천되는 식물은 다음과 같다. - 금전수 - 테이블 야자 - 스킨답서스 - 화이트 사파이어 (스노우 사파이어) - 안스리움 - 스파티필름 - 틸린드시아 - 파리지옥 - 황금죽 - 고드 세피아 반대로 햇볕 부족한 사무실에서 자라기 어려운 식물 - 산세베리아 - 선인장 종류 - 기타 .. 2023. 4. 11.
혼동, 혼돈, 혼란 뜻 구분 혼동과 혼돈의 뜻을 혼동하면 매우 혼란스럽겠지?혼동, 혼돈, 혼란은 비슷한 듯하면서 다른 뜻을 가진 단어다. 슬기로운 국어 생활을 위해서 각각의 의미와 사용법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혼동 (混同, 착각, Confusion, Mix-up)여러 가지 중에서 또는 두 가지 중에서 서로 개념이 비슷해 보이거나 잘 몰라서 착각하고 있는 상태를 말하거나 서로 구분되지 않고 마구 섞여서 구분하기 어렵게 느껴지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면, '저기서 본 오렌지색 셔츠랑 주황색 셔츠가 색상이 너무 비슷해서 혼동됐어'라고 말할 수 있겠다. 즉, 구분하기 어려워서 무엇이 무엇인지 분간할 수 없는 상황을 말할 때 주로 사용한다. 시험에서 문제를 풀다가 비슷한 두 개의 개념을 헛갈려서 틀린 경우 '혼동해서 틀렸어'라고.. 2023. 4. 9.
임포스터 증후군 (임포스터 신드롬, 가면 증후군) 임포스터 증후군이란? 임포스터 증후군(imposter syndrome, 가면 증후군)은 자신이 성공한 것은 자신의 노력이 아니라 우연에 의한 성공이나 타인의 도움으로 성공했다고 생각하는 심리적 상태를 말한다. 즉, 이 증후군에 걸린다면 자신이 가진 역량에 비해 자신감이 부족하고 자신이 성공한 것을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향이 생긴다. 이러한 증후군은 주로 성취가 높은 학생, 우수 직원, 빨리 성공한 창업가 등 고성과자(high performer)에게서 나타난다. 이들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정이나 성과에 대한 스스로의 인식이 충분하지 않아 자신감을 상실하고 자신보다 더 뛰어난 사람이 엄청 많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임포스터 증후군의 예 임포스터 증후군은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 2023. 4. 7.
뇌 가소성, 평생 공부할 수 있다. 뇌 가소성(Neuroplasticity or Brain-Plasticity)이란 무엇인가? 가소성이라는 말은 플라스틱을 가공하는 것처럼 말랑말랑한 상태에서 어떤 형태로든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데, 뇌 가소성은 환경이나 학습에 따라서 뇌가 변화하고 적응하는 능력을 말한다. 총상으로 우뇌가 거의 파괴된 군인이 재활 훈련을 통해 일상생활에는 거의 문제가 없이 회복하여 복귀한 사례도 있고, 병으로 좌뇌를 거의 들어낸 어린 환자는 성장하면서 우뇌가 대신 거의 모든 기능을 이어받아 큰 문제없이 생활한 예가 있다. 이것은 뇌가 적응력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뇌의 부상이나 질병에도 어느 정도 기능 복구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사람에게는 무엇인가를 기억하고,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리하고 추상화하.. 2023. 4. 5.
바나나 멸종설,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 오레오 광고 바나나 멸종설의 진실 예전에 맛있었던 바나나 품종이 멸종하고 지금은 전혀 다른 종이 유통되고 있다는 설이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약간' 가짜 뉴스라고 볼 수 있다. 결론부터 말하면 바나나 멸종설에서 언급되는 그로 미셸(Gros Michel) 품종은 파나마 병이라는 병으로 인해 엄청난 타격을 받자 파나마 병에 강한 다른 품종인 캐번디시(Cavendish) 바나나로 대체된 거지 그로 미셸 종이 멸종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멸종설'을 현실에 맞게 조금 수정하면 ‘예전에 맛있었던 바나나 품종이 (멸종이 아니라) 시장에서 거의 사라지고 지금은 전혀 다른 종이 유통되고 있다’고 하면 맞는 말이 된다. 실제로 그로 미셸 바나나는 필리핀 현지 전통시장 등에서 구할 수 있다고 하며, 세계적으로 유명한 시설인 ‘스발바.. 2023. 4. 3.
만우절 (萬愚節, April Fool's Day)을 대하는 BBC의 자세 만우절의 유래 만우절은 다들 알다시피 매년 4월 1일에 유머와 장난을 너그러이 허용하는 특별한 날이다. 만우절의 정확한 유래는 불분명하지만 몇 가지 설이 있다. 그중 하나는 16세기 프랑스에서 유래했다는 가설인데, 유럽에서 새로운 역법 (달력)을 도입하다가 벌어진 해프닝이 기원이라는 설이다. 그 이전의 캘린더 시스템은 새해를 3월 25일에 맞이하였으나 16세기 경에 이를 현재와 같은 1월 1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교통과 통신이 발달되지 못한 그 당시에는 이렇게 바뀌었다는 소식이 모든 지역에 도달하지 않아 새로운 연도를 3월 25일에 맞이하는 지역과 1월 1일에 맞이하는 지역이 혼재하게 되었고 이 즈음에 (4월 1일경) 바뀐 연도를 가지고 장난을 치는 사람들이 나타났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다른 가설로는.. 2023. 4. 1.
천연물질 광고와 비판적 수용 천연 물질이면 다 좋은가? 어느 날 뭔가를 먹다가 '천연 ooo 포함' 이런 식의 광고 문구가 눈에 들어왔다. OO향 첨가, OO맛 첨가가 아니라 좀 더 비싼 자연 재료를 사용했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쓴 말인 것은 알겠지만 '꼭 좋은 건가?' 이런 생각이 든다. 그리고 식품은 그러려니 해도 다른 (식품이 아닌) 제품을 홍보하는 경우에도 천연물질로 만들었다면서 이것이 몸에 더 좋다는 뉘앙스로 광고하는 경우가 많다. 사고의 함정 그러나 이것에는 적어도 사고의 함정이 있다는 것을 알고 구매 또는 소비를 해야 한다. 살모사나 방울뱀의 치명적인 독도 따지고 보면 자연이 만들어낸 천연물질이고, 복어 독도 천연물질이고, 비 온 뒤 산에서 보이는 알록달록한 독버섯도 천연 생성 물질을 품고 있다. 그러나, 천연물질이라.. 2023. 3. 31.
나이팅게일, 저돌적인 행정가 + 통계 데이터 분석가 의외의 나이팅게일 어릴 때 위인 만화 등에서 잠깐 지나갔던 백의의 천사 나이팅게일. 1820년에 태어난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은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 (1837년 ~ 1901년)에 활약한 간호 및 의료 역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이다. 현대 간호학의 창시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나이팅게일의 공헌은 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다. 그저 전쟁 부상자들을 헌신적으로 보살핀 위인이라서 약간 마더 테레사 느낌으로 기억하고 있었는데, 얼마 전 통계 관련 정보를 찾다가 장미도표 (Roes Diagram)의 창시자 등으로 나이팅게일을 언급하며 통계학자이기도 했다고 해서 의외라고 생각했다. 전쟁 부상병동의 야전 사령관? 나이팅게일이 가장 많이 알려진 활약은 크림전쟁 (1853년 ~ 1856년, 참고로 크림반도 지명에서 Crime..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