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해양심층수? 먹는 해양심층수는 안 짜던데?

by 우oㅏ 2023. 3. 27.
반응형

해양심층수(海洋深層水)란?

해양심층수란 말 그대로 바다 깊은 곳, 즉 심해 속 바닷물이다. 지구상에서 깊은 바다에서 채취되는 물로 우리나라 법률적으로 (상품화나 취수 등을 위해) 수심 200미터 이상의 깊은 곳에 있는 바닷물로 정의되나 일반적으로는 1000미터 이상의 심해에서 채취되는 바닷물로 통용된다.

반응형

이 물은 매우 깨끗하고 높은 미네랄 함량을 가지고 있어 사람에게 많은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홍보한다. 심해에 있는 바닷물은 표층에 있는 바닷물에 비해 대부분의 경우 불순물이 거의 없으며 유기물도 매우 적어서 이용가치가 크다고 한다.
 

deep-sea
심해는 보이지도 않겠지..

해양심층수가 불순물과 유기물이 거의 없는 이유?

해양심층수가 불순물과 유기물이 거의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해양심층수는 깊은 심해에서 채취되는데, 그곳까지 햇빛이 도달하지 못한다. 따라서 광합성을 해야 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되고 자연스럽게 플랑크톤을 먹고사는 (그리고 배설도 하는) 생명체도 거의 없기 때문에 자연적인 오염 물질이나 유기물의 양이 절대적으로 적다.
 
둘째, 수심이 깊기 때문에 수압도 매우 높고 역시 이런 환경에 살 수 있는 생명체가 극소수만 존재할 것이고, 대기권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대기 중에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셋째, 해양심층수는 염분 및 기타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어 물 자체의 밀도가 높다.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표층수와 잘 섞이지 않고 해저 깊은 곳에 머물러 있을 수 있다. 즉, 밀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무겁고 수온도 낮아 대류현상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깊은 수심을 유지하면서 이동한다. 따라서 바다 표면에 오염물질이 많아져도 해양심층수는 이와 섞이지 않아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면 해양심층수를 식수로 사용하는 것은 어떻게 하는 것인가? 

해양심층수의 염도는 일반적으로 표면의 해수보다 높은데, 이는 지구 내부에서 올라오는 지열적인 영향과 바닥의 암석이 상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무기염을 녹여내기 때문이다. 해양심층수를 직접적으로 식수로 사용하는 것은 염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당연히 불가하다.
 
일반적으로 해양심층수를 식수로 만들려면 염도를 낮추는 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바닷물의 염도를 낮추는 방법으로는 역삼투압 기술이 있다. 역삼투 기술로 염분, 미생물, 유기물 등을 걸러내고 이렇게 추출된 물에 추가적으로 여과, 살균, 소독 등의 처리를 거친 후에 식수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해양심층수를 식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식수 공급을 위한 적절한 위치의 해저 광맥을 발견하고 (물이니까 광맥이 아니라 수맥인가? ㅎㅎ) 채취 시설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질학, 해양학, 환경학 등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조사와 검토를 거쳐야 하고 먹는 물이기 때문에 위생 관련 법률이 적용된다.
 

여과 등 가공을 하는데 좋은 성분이 남아 있을까?

판매 중인 '먹는 해양심층수'는 '해양심층수라서 미네랄이 풍부하다'라고 광고를 하는데 과연 이게 맞는 말일까? 바닷물을 식수로 바꾸면서 역삼투압 필터를 이용하면 혹시 이런 미네랄 성분이 다 걸러지는 것은 아닐까?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해양심층수를 식수로 변환할 때 이러한 미네랄 성분들도 함께 걸러질 가능성이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역삼투압 필터는 물 내의 염분과 유기물, 미생물 등을 걸러내는데 주로 사용되고 역삼투압 필터의 종류나 필터링 시간, 용량 등에 따라 미네랄 성분이 일부 보존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해양심층수는 미네랄이 풍부하다'는 광고는 일반적으로 그냥 담수와 비교하면 대체로 맞는 내용으로 보인다. 

먹는 해양심층수 미네랄워터 경도300 해양심층수 사랑해 골드 40개 500ml, 500ml, 40개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관련글]

텔로미어, 뱀파이어, 하버드 역노화 실험 - 불로장생 과학적 접근

최근 생명과학의 트렌드는 노화를 하나의 질병으로 보고 이를 치료한다는 개념으로 접근하는 것이 유행(?)인 것 같다. 불로장생 또는 더 나아가 영생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해 과

withbesties.tistory.com

SOS 의미와 메이데이(Mayday) 구조 신호와의 차이

SOS는 초창기, 선박구조, 모스부호 SOS 신호는 긴급 상황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데 사용되는 조난 신호의 대표 선수(?)이다. 모스 부호로 짧은 점 3개, 긴 대시 3개, 다시 짧은 점 3개로 구성되며 그

withbesties.tistory.com

공감각자

일반적인 경우, 우리의 뇌는 각 감각별로 감각 수용 및 처리 부위가 구분되어 있다. 빛을 느끼는 부위, 소리를 처리하는 부위 등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 등 각각의 정보를 처리하는 부위가

withbesties.tistory.com

자기전 한잔? 나이트캡 (nightcap)

나이트캡(nightcap) 나이트캡이라고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글자 그대로 밤에 쓰는 모자? 일단 맞다. 옛날 서양 쪽에는 잠자는 동안 머리와 귀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모자를 썼다고 한다. 빨간 망

withbesties.tistory.com

파도소리를 왜 백색 소음(white noise)이라고 할까?

Why white?파도 소리나 빗소리 등을 왜 백색 소음(white noise)라고 부를까? 우리가 빛에서 맛을 느끼거나 소리에서 색깔을 보는 '공감각자'라면 모를까, 일반인 입장에서는 소리에 색깔이 있는 것도

withbesties.tistory.com

사무실 책상 화분: 식물 킬러를 위한 팁

결론부터 식물 화분은 작은 선물이나 기념품으로도 나쁘지 않은 선택이라서 다들 책상에 작은 식물 화분 하나쯤은 길러본 일이 있을 것이다. 자기 사무실 책상 위에 올려놓은 조그만 화분을 죽

withbesties.tistory.com

 

728x90

댓글